IMF의 금리 예측과 중립금리 뜻 설명
IMF (국제통화기금)가 인플레이션이 잡힌다면 초저금리 시절로 돌아갈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만 하더라도 일본과 유럽은 유동성 공급과 경기 부양을 위해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했고, 우리나라를 포함한 많은 나라들이 실질적인 ‘제로 금리’를 유지했었습니다.
IMF는 미국의 중립금리가 1% 미만에 머물 수밖에 없다고 봤습니다.
중립금리는 시장에 거품이 끼지도 않고 경기가 가라앉지도 않는 잠재성장률 수준의 금리를 말합니다.
이틀 전인 11일 (화요일), 한국은행 총재는 “현재 기준금리가 중립금리를 넘어서면서 (경기를) 제약하는 수준에 들어왔다”고 발언했습니다.
초저금리 시대를 전망하는 IMF의 예측은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해 인플레이션을 성공적으로 잡았을 때를 전제로 합니다.
하지만, 올해 안에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인하될 예정은 거의 없다고 봅니다.
금리 인하에 대해 강경한 입장은 미국도 마찬가지입니다.
IMF 홈페이지의 <WORLD ECONOMIC OUTLOOK>은 언론이 자주 인용하는 보고서입니다.
물론 국제금융기관은 여럿이고, 세계적인 석학들도 여러 명이기 때문에 서로 의견이 다를 때도 있습니다.
미국의 재무장관을 지낸 래리 서머스 하버드대 명예교수는 중장기적으로 중립금리가 1.5%~2.0%로 오를 거라고 전망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고물가와 고금리 시대에 진입할 거란 예측입니다.
중립금리
중립금리는 이론적으로 경제가 인플레이션 (물가 상승)이나 디플레이션 (경기 침체) 압력이 없는 잠재성장률 수준을 유지하게 만드는 이론적인 금리 수준을 말합니다.
금리가 너무 높지도, 낮지도 않은 것을 뜻합니다.
중립금리는 절대적으로 정해진 수치가 아니라 그때그때 경제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경제가 완전고용 상태이고 물가수준이 안정적인 상태에서 돈의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이뤄야 하기 때문입니다.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14일 금요일 경제 일정 미국 경제지표 은행주 실적 발표 제이웨이 상장폐지 (0) | 2023.04.14 |
---|---|
반려동물 시장의 확장과 관련법 시행 (0) | 2023.04.13 |
4월 13일 오늘의 경제 키워드 뉴스 : 수출 포스코 인수 라면 구글 (0) | 2023.04.13 |
4월 13일 오늘의 경제 일정 : 글로벌 물가 지표 발표 (0) | 2023.04.13 |
한국의 기준금리 동결과 미국 의사록 (0) | 2023.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