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정보

청년도약계좌 출시 전 체크사항 : 가입 연령, 소득 조건, 상품 특징

by 정보사 2023. 6. 2.

 

청년도약계좌 출시 전 체크사항 : 가입 연령, 소득 조건, 상품 특징

 

청년도약계좌가 곧 나옵니다.

 

 

'청년도약계좌'가 이번달에 출시됩니다.
12일 월요일에 청년도약계좌의 금리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목돈 마련을 돕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진 정책금융상품입니다.

 

다음은 청년도약계좌의 세부 사항입니다.

가입 연령 : 만 19세에서 34세 사이의 청년을 대상으로 합니다.
소득 조건 : 개인소득 7,500만원 이하면서 가구소득이 중위소득 180% 이하일 것

상품 특징 : 5년 만기 자유적금, 월 납입한도 최대 70만원, 이자소득 비과세, 납입한 금액의 최대 6%를 정부가 기여금으로 제공

 

작년에는 '청년희망적금'이 출시되었었습니다.

 

 

2년 만기라서 지금도 열심히 돈을 넣고 계신 분들이 많을 텐데, 청년희망적금에 가입된 상태라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없습니다.

두 사업의 목적인 비슷하기 때문이라는 이유입니다.
만기를 앞두고 있거나, 중도해지 했다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적금은 유지하는 게 중요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출시 후 2년이 지난 시점이자, 초기 가입자가 만기를 맞이하는 2024년 2월에서 3월에 종료됩니다.

그런데 올해 1월 기준, 가입자 10명 중 1명이 중도 해지를 했습니다.
어떤 적금이든 만기까지 유지하는 게 중요합니다.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 모두 자유적금이니, 최대 납입금액 내에서 상황에 따라서 월 저축 금액을 조절하며 만기까지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기 전에, 5년 내로 큰 돈을 쓸 일이 있는지 점검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5년 만기 저축이면 꽤 긴 편인데, 장기 저축에 가입했다가 결혼이나 집 마련, 사업 등으로 해지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청년도약계좌 중도 해지를 방지하기 위해서, 이 계좌를 담보로 받는 대출에 대해서 금리를 낮게 설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