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 정보

깨어 있는 것과 자는 것의 차이 : 수면에 대한 신경 과학적 이해

by 정보사 2023. 3. 11.

깨어 있는 것과 자는 것의 차이는 수면/각성 항상성과 생체 시계의 두 가지 신체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수면/각성 항상성은 수면 중에 천천히 소멸되는 화학 물질에 의해 제어됩니다. 이 화학 물질은 낮 동안 축적되며 깨어 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신체는 수면의 필요성을 더 많이 느끼게 됩니다.

 

반면 생체 시계는 시교차상핵(SCN)이라고 하는 시상하부에 있는 세포 그룹에 의해 제어됩니다.

SCN은 망막이 받은 명암 신호에 반응하고 신체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 생산 및 억제의 연쇄 반응을 일으킵니다. 몸은 어둠을 감지하면 수면을 유도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을 생성합니다.

 

 

깨어 있는 동안 뇌는 베타파로 알려진 고주파, 저진폭 전기 활동을 보입니다.

이 활동은 높은 수준의 감각 입력, 지각 및 인지 처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수면으로 전환하는 동안 뇌는 일반적으로 이완 및 졸음과 관련된 알파파로 알려진 더 느리고 동기화된 전기 활동을 나타냅니다. 깊은 잠에 빠지면 뇌는 느린 파동 또는 델타파 활동을 나타내며 이는 깊은 수면 및 신체 회복과 관련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빠른 안구 운동(REM) 수면 중에 뇌는 빠르고 느린 전기적 활동이 혼합되어 꿈을 꾸게 됩니다.

 

요약하면, 깨어 있는 것과 자는 것의 차이는 수면/각성 항상성과 생체 시계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깨어 있는 동안 뇌는 감각 입력 및 인지 처리와 관련된 고주파 베타파를 나타냅니다. 수면 중에 뇌는 이완, 신체 회복 및 꿈과 관련된 느린 알파, 델타 및 REM 파동을 나타냅니다.